Surprise Me!

[뉴스라이브] 금리 인상에 '이자 부담'↑...부동산 시장 더 얼어붙나? / YTN

2022-08-26 70 Dailymotion

■ 진행 : 호준석 앵커, 김선영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LIVE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전국의 아파트값이 10년만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. 또 어제 다시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자가 추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 규모가 연간 27조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. 전문가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[김인만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. 어서 오십시오. 이 금리 인상이 집값에 그리고 부동산 시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김인만] <br />최근 주택시장 분위기가 굉장히 침체되고 있고요. 거래 절벽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데 그 결정적인 트리거라면 금리 인상을 꼽을 수 있습니다. 대출이자 부담이 너무 늘어나니까요. 대출받기 굉장히 힘들다라는 하소연을 많이 하고 있고 그 내면에는 물론 과거에도 고금리 시절이 있었죠. <br /> <br />노무현 정부 시절에도. 더 높았고 그때는 집값이 올랐는데 지금은 왜 다르냐 하면 상황이 좀 다릅니다. 어떤 상황이 다르냐 하면 저금리 유동성의 힘이 굉장히 컸어요, 최근의 상승의 원동력인데 이번 금리 인상은 저금리 유동성을 제거한다는 그런 의미가 있고요. <br /> <br /> <br />저금리 유동성이 뭔지 조금 설명해 주십시오. <br /> <br />[김인만] <br />금리가 낮으면 아무래도 우리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전 세계적으로 경기 부양을 위해서 돈을 굉장히 많이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돈을 풀게 되면 결국에는 그 돈이 흘러서 주식시장이라든지 부동산 시장으로 많이 유입되는데 경기가 빨리 살지 않다 보니까 저금리 기조를 10년 이상 지속하게 되면서 주식, 부동산 시장이 과도하게 오버슈팅된 부분이 있고요. <br /> <br />결국 7년, 8년 연속 상승에 대한 과도한 피로감이 누적된 상태에서 작년에 또 패닉바잉 현상이 굉장히 심했죠. 그래서 사람들이 더 이상 오르기 힘들 거라는 기대감이 꺾인 상황에서 금리인상이 되니까 드디어 꺾이는 것이 아닌가라는 불안감이 커지고요. <br /> <br />더 문제는 한국은행에서 이번 금리인상이 마지막이 아니다. 앞으로 올해 두 번 남은 금통위에서도 더 올릴 수가 있고 내년 상황은 모르겠다라고 하니까 불확실성까지 겹치게 되면서 투자 심리는 더 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2611255122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